1. 호흡기질 환자는 습도를 더 높인다.(50~60%)
2. 편안한 환경 : 환기-습도-온도순
(조명,냄새,광선등)
3. 기구에 피나 점액이 묻어있으면 “찬물”로 헹구고 더운비눗물로 씻는다/바닥의 물은 사고의 원인이므로 빨리 닦는다./환자불안요인(병원규칙, 의료인의 비인간적인 태도, 가족과의 격리, 프라이버시 결여, 용어이해부족, 낯선 소음과 환경 등)
4. 잘못 기록 시 : 지우개로 지우지 말고 적색볼펜으로 한줄 또는 두줄 긋고 error라고 쓴 다음 다시 기록한다.
직장
|
2~3분
|
37~38도
|
직장체온계
|
구강
|
5분
|
36.5도~37.5도
|
혀밑, 음식~10분 후/뜨겁거나 찬음식-30분후 측정
|
액와
|
10분
|
36~37도
|
겨드랑이땀은 닦는다.
|
체온
|
직장(6세미만의 어린이에게 실시/.심스체위)-구강-액와
|
35도이하 확인 후 측정/뇌의 시상하부에서 조절/갑자기 열이 높은 환자를 발견시 다른 체온계로 다시 측정한다.
|
맥박
|
요골동맥, 엄지를 제외한 나머디 손가락으로 30초*2심첨맥박-1분동안 체크
|
맥박촉지가 가능하지 않은 동맥? 관상동맥, 폐동맥, 대동맥
|
호흡
|
맥박잰 손을 놓치 않은채 남자는 배 여자는 가슴을 힐끔 보면서 눈치채지 않도록 잰다.
|
(뇌의 연수에서 조절) 설명하지 않고 체크
|
혈압
|
상완동맥, 커프의 폭 12~14cm/팔을 심장높이로/혈압계압력 2~3mm/sec
|
주전와에서 5cm에 청진기를 대고 수은을 올려 처음들인 음이 수축압, 갑자기 작아진 음이 이완압
|
5. 고막체온:심부체온을 가장 정확하게 잰다.
(성인-후상방,아동-후하방)
6.호흡수(맥박수)증가원인-쇼크,발열,정신적흥분,출혈,감염,쇼크또는 출혈시 증상(저체온,저혈압,빈맥,빈호흡,심계항진)-혈액내 이산화탄소 증가시(=체내 산소부족시)호흡수와 맥박수는 증가한다/불안,호흡수 증가,맥박의 증가, 청색증, 창백
*내출혈증상:빠르고 약한 맥박,갈증,피부 청색증,불안,혈압저하 등
7. 데메롤, 몰핀(호흡수 확인)/디지털리스(맥박수 확인)
8. 정의: 외과적 무균법(멸균개념, 도뇨관삽입, 주사약준비과정, 멸균품을 다룰 때, 드레싱시) /
내과적 무균법(소독개념, 역격리환자)
|
내과적무균(소독개념)
격리병동
|
외과적무균(멸균개념)
수술실
|
손씻기
|
10~15초 물과 비누이용, 마찰이 중요
|
손끝이 위로, 허리아래로 내리지 않는다. 원형동장,솔,베타딘 이용
|
가운입기
|
청결구역에서는 가운의 안이 밖으로 나오게 뒤집어 놓는다.
|
허리아래,뒷면,가장자리 모두 오염으로 간주
|
9.내과적무균술의 내용: 수도꼭지를 잠글 때 소독타월을 싸서 잠근다. 격리병동에서 가용된 기구나 쓰레기는 이중처리하여 버린다. 솔질을 할 때 먼지를 털 때 물건을 세척할때는 기구를 신체로부터 멀리놓아 가운이 불결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오염된 드레싱을 제거할 때에는 장갑을 착용한다. 교차감염을 피하기 위해 환자의 분비물과 접촉할 때에는 매번 장갑을 교환한다. 목욕물,양치물을 같이 버려야 할 경우 액체는 튀지 않게 주의하며 하수구에 붓는다.
10. 역격리-감염에 민감한 사람을 위해 주위환경을 무균적으로 유지하는 것(암환자,백혈병,AIDS,전신화상환자등)
11. 소독-아포를 형성하지 않은 병원균을 죽이는 것
12. 멸균-아포를 포함한 모든 균을 사멸
13. 방부-미생물의 증식을 억제 저지
자비소독
|
100도 10~20분간 끓인다/단, 유리제품소독방법-찬물에 넣은 다음 끓기 시작해서 10분간 끓인다.(식기)
|
저온살균
|
63도 30분간 (우유나 예방주사약)
|
일광소독
|
10am~3pm(이불,가구,서적 등)
|
건열멸균
|
140도 3시간,160도 1-2시간(솜,종이,바셀린거즈,오일류 등)
|
EO가스멸균
|
=냉멸균,단점 : 인체에 해가 있다 통기시간 길고 가스값도 비싸다. 장점: 유효기간은 길다.(플라스틱,고무제품,상아제품 등)50도
|
고압증기멸균
|
120도에서 20분/14일간 유효/이중방포/나사는 풀어서, 뚜껑은 열어서(가운,방포,도뇨 및 세척용구,수술기구,몸속에 들어오는 기구는 모두 멸균)
|
14.멸균+멸균=멸균/멸균+소독=오염/멸균+오염=오염
15.멸균개념:소독 캔두껑을 열어서 멸균된 내면이 위로 향하게 놓고 들고 있을때는 뚜껑을 열어서 멸균된 내면이 위로 향하게 놓고 들고 있을때는 뚜껑을 아래로 들고 있는다./멸균포는 먼곳 열고 양쪽열고 맨앞쪽연다/소독액은 가장자리를 오염으로 간주하여 조금 따라버리고 사용함/멸균영역결정방법-소독포를 폈을 때 늘어지는 가장자리 오염, 시야에 보이지 않는 부분오염, 소독포 외면은 오염, 멸균포거즈에 습기가 스며들었다면 오염
16. 수술가운 입은 사람끼리 통과할 때 서로 등을 향하게 하고 지나간다.손끝을 팔꿈치보다 높게한다.
17. 마스크오염-마스크 쓴지 2시간이 지났을 때, 결핵환자가 간호사의 얼굴에 대고 기침했을 때, 습기가 찼을 때, 활동성결핵환자와 가까이 접촉했을 때, 간호를 마친후
19. 혈중의 약물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항생제를 일정하게 투입(잠자더라도 깨워서준다)
21. 배갯잇 터진곳이 출입문의 반대쪽으로 오게편다 크래들(화상환자), 수술 후 침상-구토나 분비물
22. 물약(흔들어서), 기름(먹인후 뜨거운 차), 철분제제(빨대 사용하여 치아착색예방), 혓바늘(입에 물고 있게한다)
24.호스피스간호의 목적 (증상조절,통증관리,가족관리,영적지지)
25.임종의 단계(부정-분노-협상-우울-수용)
26.사후처치목적(사체가 경직되기 전에 적장한 자세로 만들기 위함), 사후처리로 가장 먼저 환자를 눕히고 베개를 베고 사지를 똑바로 한다.
27.투약에 5가지 원칙(정확한약,용량,시간,방법,환자)
28.마약과 수면제(수량을 확인하고 보관시 약장을 잠궈둔다.)
29.효과가 빠른 순서(정맥-근육-피하-경구)-피내주사: 알러지반응검사, 질병진단시, 결핵반응검사시
30.수혈시 부작용이 나타나면 (즉시 중단후 의사에게 보고)
31.수혈시 급성용혈현상을 피하기 위해?
(수여자와 공여자의 교차시험)(18G이하의 주사바늘을 사용)
32,ac-식전 pc-식후 bid-하루2번 tid-하루3번 qid-하루4번 od-우측눈 os-좌측눈 ou-양쪽눈
NPO-금식 PRN-필요시 STAT-즉시 HS-취침시
33.만성설사시 간호(정해진 시간마다 체중측정/탈수증상시 의사에게 보고/변기사용 전후 손씻기교육/환아대변 배설물 따로 격리처리*구강으로 수분섭취증가는 안됨)
34.발열시 간호(침상안정,수분섭취권장,서늘한환경유지, 냉요법)
35. 교차감염방지를 위한 주의사항-간호전 1분이상 손씻기,손톱밑주의,손에 상처시 소독액 바른후 장갑을 끼고 간호,간호처치시엔 고무장갑이나 멸균장갑을 끼고 간호
36.간호행위와 관련된 감염관리?
-정맥주사, 인공도뇨, 창상드레싱시
37.창상(욕창,개방상처,드레싱)소독약? - 생리식염수, 붕산수, 포비돈아이오다인, 과산화수소수(*알콜사용은 안됨)
상처소독방법: 깨끗한-더러운부분으로, 매번 스폰지는바꿈.
-드레싱하는 목적은? 상처보호/분비물흡수/상처부위지지,출혈방비/(*통증완화아님)
38.전염병환자의 객담,대소변,토물? 3-5g석탄산수 2시간이상 소독*전염병환자의 분비물처리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소각
일반소변검사
|
2/3컵,중간뇨
|
배양용소변검사
|
멸균뇨,인공도뇨,무균적
|
24시간소변검사
|
첫소변은 버린다
|
대변검사
|
아메바검사를 위한 대변은 받는 즉시 검사실로 보낸다.
|
객담
|
소각, 이른 아침 첫기침채취
|
39.위 X-RAY촬영을 하기위해 금식이 필요한 환자가 검사전 음식을 먹었을 경우에는 검사를 연기해야 한다.
요추천자
|
새우등/요추3-4번/검사후양와위로 눕혀 척수액누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두통을 예방하고 수분섭취를 증가시킴
|
복막천자
|
반좌위
|
늑막천자
|
두팔을 머리위로 올린다
|
40.통목욕중 어지러운 증세를 일으키거나 졸도시 ⓵통물을 빼고⓶머리는 편평하고 다리는 올려준다.
41.알콜소독-70-75%알콜사용(신생아제대간호시)
42.맛사지용-20-50%알콜사용
*노인환자,욕창,창상,개방상처,드레싱할 때 알콜사용안함
43.전신소양김-중조목욕,전분목욕,미온수목욕,칼라민로숀
44.sitz bath-배뇨곤란시 도움을 준다.
45.회음부간호:여자는 배횡와위(치골-항문쪽으로,요도~항문쪽으로 대음순~소음순으로 매번 스펀지는 버린다.)
46.양와위시 욕창호발부위-미골,천골,견갑부
47.욕창의 단계:창백-발직-수포형성-조직괴사
48.욕창호발부위에 스폰지나 솜은 안됨,양모피만 가능
51.탈수증상-건조한피부,홍조얼굴,구강건조,발열,핍뇨,근육의 긴장도저하(수분정체시 증상-체중증가,고혈압,소변량감소 부종(=수분정체)-혈압상승, 체중증가,핍뇨
57.반좌위(팔로우자세):수술로 인한 호흡곤란시
58.심스위(측와위):항문검사시/슬흉위:산후운동,자궁내태아위치교정,월경통완화/절석위(쇄석위):산부인과진료시/배횡와위:복부검사,인공도뇨시(여자),회음열요법시
59.억제대사용시:혈액순환장애를 방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4시간풀고 관절운동과 피부간호
60.팔꿈치억제대(주관절억제대):수두어린이의 소양감 간호시
61.얼음목도리(아이스칼라): 편도선 수술후의 출혈방지와 염증방지에 사용한다.
호흡유지간호
|
목적
|
주의사항
|
증기흡입
|
분비물배출용이,기도건조와 부종완화
|
1회/일 청소
|
산소요법
|
저산소증예방
|
화재예방
|
흡인간호
|
환기증진
|
저산소증예방
|
좌위,정서적지지
|
|
|
63.(상지골-쇄골,견갑골,상완골,요골,척골,수근골)
(하지골-관골,대퇴골,경골,비골,족근골)
(관골-장골,좌골,치골)(척추-경추,흉추,요추,천골,미골)
64.체위백액:중력을 이용하여 폐에 있는 분비물을 배출
65.상처치유의 지연요인: 단백질부족,노령,빈혈,부종,비만,스테로이드복용
66.기관절개관에 젖은거즈를 덮어 가습(습도조절)과 먼지흡착의 역할
68.나선절전대:굵기가 급히 변하거나 고르지못한 부위, 종아리
2.
69금식과 상관없는 검사:x선촬영,EKG검사
수술전교육
(기침,심호흡,체위변경,조기이상)
|
수술후 합병증예방:
호흡기(무기폐,폐렴),
순환기(혈전성정맥염)
|
70.조기이상의 치료적효과는?(폐렴과 같은 폐합병증예방, 회복시간단축,혈전성정맥염예방)*빈혈예방아님
71.수술부위 삭모는 수술전날밤 털난 방향으로/삭모이유는 수술부위 감염예방
72.수술전 금식시키는 이유: 수술도중 기도로 이물 흡입방지 수술후 구토경감, 위를 비우기 위함
73.수술전투여:⓵아트로핀:수술중 분비되는 호흡기계 분비물억제와 기도를 깨끗이 유지키 위해 ⓶몰핀:긴장감제거, 투여후 침상난간을 올려준다
74.리도케인:국소마취
75.수술후합병증:출혈,상처감염,발열,폐렴,무기폐,혈전성정맥염,심맥관허탈
수술실갈 때,무의식,경련환자(물주면 안됨, 의치빼야함)질식우려(기도유지)
53.구토시주의점-기도가 막하지 않도록 옆으로 눕히거나 머리를 옆으로 돌림.
54.구강문제를 초래할위험이 높은자(무의식,탈수,비위관삽입,기관내삽관)
76.염증의 국소증상:열감,발적,부종,동통(상승,움직이지 않는다.찬물찜질*맛사지안됨)-염좌간호와 같다.
77.백혈구(식균작용) 적혈구(산소운반) 혈소판(응고작용)
78.환자의 비밀:타인의 비밀을 절대 누설하거나 발표하지 않는다.
79.근육주사후 문지르는 이유는 흡수를 돕기위해서이다.
81.소화기에 대한 설명은(식도길이는25cm,식도~위는 분문,위~십이지장은 유문,간에서 담즙생성/우상복부에 위치)
소장(십이지장,공장,회장)대장(맹장,결장,직장)
83.냉장보관(혈청,예방백신,인슐린)
84.진료기록부(주된증상,진단결과,치료내용 등),수술기록,예방접종,혈액관련-10년보관
85.간호기록부(V/S, I/O,간호처치, 투약),조산기록,임상소견기록,환자명보-5년보관/진단서등부본-3년/처방전-2년
86.최근간호의 경향:환자위주/전인간호/예방위주
87.관상동맥:심장에 영양공급,산소공급
88.저혈당시=사탕,초콜릿,설탕물,포도당,쥬스/
고혈당시=인슐린투여
89.위관영양-반좌위/(물-음식-물)/유동식이/온도는 체온과 같거나 약간 높거나/중력/30분정도자세유지/-비위관삽관환자-구강간호,비강간호,가습기적용.
십취량
|
경구+비경구포함
|
배설량
|
소변,설사,젖은드레싱,심한발한,배액량,구토
|
관장-심스또는좌측위/성인1000CC/관장쪽10CM 배꼽쪽을 향해 “아” 이완후 삽입/용액이 남아 있을 때 조절기를 잠근다. 이뉴는 장으로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게/도뇨-유치도뇨합병증-비뇨기계감염(무균적,멸균유지)방광보다 낮게 유지.
|
생후1주-B형간염
|
|
생후4주-BCG
|
기본접종
|
2,4,6달-DPT주사용소아마비
|
|
12~15개월-MMR
|
|
1년6개월-일본뇌염
|
추가접종
|
4~6세-DPT소아마비폴리오,MMR
|
|
14~16세:성인용td
|
91.숙주의 감수성이나저항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영양상태,연령,면역,성별,국가별,인종별,질환여부등)
바이러스:크기가 가장 작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이 가능, 세균여과막을 통과하므로 여과성병원체라고도하며 생체내서 번식하므로 세포내병원체라고도 함. 항생제에 저항
92.자연수동면역-(모체로부터 획득,태반면역), 자연능동면역(질병앓은후)인공능동면역(예방접종) 인공수동면역(치료적 혈청주사)
93.순환(좌심실-대동맥-온몸-대정맥-우심방-우심실-폐동맥-폐-폐정맥-좌심방)
94.협싱증환자에게 설하투여(니트로글리세린)통증감소
95.신장기능(수분과 전해질균형유지,산염기균형유지,질소성노폐물제거,호르몬생성)
96.뼈기능(신체지지기능,내부장기보호,골수에서 혈구생산, 무기질축적, 공급)
97.간의 기능: 대사작용 및 배설가능, 담즘형성,해독작용,응고인자형성,헤파린형성(조혈기능은 아님,태생기)
98.혈액기능(⓵영양분,노폐물,co2,o2등을 운반하는 역할,⓶세포의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⓷병원균으로부터 신체를 방어,⓸체온유지)
99.양수기능:태아와의 유착방지, 태아운동 자유롭게, 산도윤활제, 태아체온유지
101.무거운물건운반시 신체역학이용-(등을 펴고 무릎을 구부리고 양쪽다리를 벌림,목적물 가까이 선다.
102.간호조무사는 누구의 지시를 받는가? 간호사/간호조무사의 직무-운반,청소,업무협조,정리정돈 등, 입원환자 검사결과, 의문,보고,실수 대해 질문시-담당간호사에게 보고/진료,치료,진단-의사에게 보고/
103.직업윤리를 지켜야하는 이유는?(법적인 책임한계를 위해,문제해결시 지혜롭고 양심적인 판단을 위해)
104.교감신경자극시 일어나는 현상(동공확장,소화기능운동억제,혈관수축,눈물생성분비억제=누선분비억제)
107.갑상선기능저하증=크레틴병/갑상선기능항진증=그레이브병)
108.의치보관법(물에 완전히 잠기게 보관,뚜껑이 있는 그릇에 보관,찬물로 닦음,수술실갈때빼놓음)
109.성인1일 정상소변배출량=2000cc(30cc이하/시간당, 600cc이하/일보고)
111.급성심근경색증환자-절대안정,몰핀IV,심전도,변완화제
112.항암제투여받고있는암환자(백혈병,전신화상,AIDS)를 볼 때 가장 중요한 것(감염예방)
113.구강문제를 초래할 위험이 높은 환자는? 무의식환자, 탈수환자, 비위관삽입환자, 기관내 삽관환자 #꾸강사용시 사용할 약품(생리식염수,글리세린,과산화수소수)*알콜은 사용안함
114.유방절제술후 재활운동간호(머리빗기/줄돌리기/손으로 벽 기어오르기/양팔을 이용한 도르레 끌기
115.위절제술받은 환자가 식후 30분내 덤펑신드롬을 막기 위해-고지방식이 제공(조금씩 자주 나누어준다)
116.간호조무사의 주의 의무태만: 위급한증상을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지 않아서 적기에 치료를 받지 못한 환자가 손해를 보게된 경우를 의미
118.비뇨기배설과정(신장-요관-방광-요도)
120.5년(정신질환자실태조사,인구조사)
123.기초신진대사율:갑상선환자에게 검사,생명유지에 최소한도로 필요로 하는 대사량
'시험 > 간호조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요약정리집 (공중보건) (0) | 2022.10.12 |
---|---|
2023년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요약정리집 (응급간호) (0) | 2022.10.11 |
간호조무사 시험에 합격 후 뭘 해야 될까? (0) | 2022.07.05 |
간호조무사 시험에서 떨어졌다면? (0) | 2022.05.13 |
2022년 상반기 3월 간호조무사 시험 짝수형 가답안 (0) | 2022.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