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배란기간(월경전 12~16일사이),가임기간(월경전 12~19일) , 배란기간-월경예정일로 14일전후
2.생식기 검진시 준비사항:질경,면봉,압설자,슬라이드 등을 준비, 쇄석위,질경삽입시 이완을 돕는다
3.산전유방관리:하루에 2번 중성비누와 물로 씻는다
알맞은 브래지어로 지지해준다.
임신중독증상
|
고혈압,단백뇨,부종
|
임신중독환자식이
|
저염식이,고단백,수분제한
|
산전진찰시 매번검사
|
혈압측정,소변검사,체중측정
|
5.분만후 올 수 있는 합병증(출혈과 감염) 자궁출혈이 심한 환자의 응급처치는?하지를 올려주고 보고/수혈부작용시 수혈중지후 보고/석고붕대환자가 저림호소시 간호사에게 보고
*산후자궁이완으로 인한 출혈시 간호는? 자궁수푹의 정도측정,오로의 색,양,냄새관찰,자궁맛사지,자궁저부에 냉찜질
6.임신말기에 더욱 많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는(철분)
7.조기파수임부(들것으로 운반)
8.정상분만시 제대박동이 정지되었을 때 제대를 자른다
10.난소(배란과 홀몬분비)자궁(태아발육장소)난관(통로)양수기능(분만시 산도역할, 태아운동, 난막과 태아의 유착방지, 태아의 체온유지)
11.정상분만후 회음 절개부의 간호(좌욕,열램프적용,부종 시 얼음주머니 적용)
12.회음절개술목적-(회음열상방지, 수술적으로 절개함으로 회음치유촉진,신생아머리 손상방지, 분만2기단축)
분만1기
|
개구기(태아심음청취-자궁수축과 수축사이,자궁경관6-8CM개대시 분만실로 옮긴다. 삭모,관장,운동,유동식등)
|
분만2기
|
태아만출기(복압줌,신생아-기도청결,호흡유지,통목욕,제대는 알콜소독, 임균성안염예방-질산은 점적)
|
분만3기
|
태반만줄기(잔여물확인)
|
분만4기
|
분만후 1~2시간(출혈과 감염여부)⓵오로관찰⓶V/S⓷자궁수축여부확인
|
13.정산부(6~8cm개대시분만실로 옮김)/초산부(완전개대시옮김)
분만후1일~3일
|
적색
|
분만후4일~10일
|
갈색
|
분만후10일~3주
|
백색
|
14.분만후 24시간이내 간호:태변 통과여부 확인이 포함되어야함
16.분만직후 신생아 간호시 제일 먼저 해야할 것(기도유지 및 이물질제거)
17.신생아에게 감염되기 쉬운 부위는?(제대절단부-파상풍70% 알콜)(눈-임균성안염, 0.1%질산은)(피부)
18.출생즉시 사정:아프가점수,맥박,호흡(대소변은 생후24시간안에 사정)/아프가점수(근긴장도,맥박수,호흡,피부색,반사반응)
19.파파니콜라우스 도말검사(회음부를 물로 씻어준다,방광을 비운다,질경과면봉준비,쇄석위)
20.자연적 출산조절법(월경주기법,기초체온법,점액관리법)
21.일시적 피임방법 선택시 고려사항:효과,비용,육체적,정신적안정성,임신능력의 회복
22.인공임신중절수술의 부작용:출혈,감염,습관성유산,불임
23.생후3~7일에 신생아 체중의 10%감소는 생리적으로 본다.
|
수유
|
젖을 짜낸다
|
유즙분비촉진
|
0
|
0
|
유방울혈
|
0
|
0
|
유두균열
|
2~3일만중지
|
0+V.A연고바른다
|
24.유아발달
(중심에서 말초로, 전체에서 부분으로, 상부에서 하부로,일반에서 특수로,팔전체에서 손가락근육발달)
25.자궁내장치(수정란착상방지), 피임약원리(배란억제)
26.산후출혈:V/S,찬물주머니,자궁저부맛사지,다리를 올린다)
27.조산아간호(호흡유지,보온,감염방지,영양)
28.분만예정일-(최정 마지막 월경일로부터 일수에는 +7, 월수에는 +9또는 –3을한다)
29.모유장점:소화잘됨,산후비만억제,정서적만족,경제적,비타민,당질많음(우유:단백질많음-이유식 생후6개월부터 시작)
30.뇌수종,뇌압상승시 증상:봉합선분리,두위증가,두피정맥확장,팽팽하고 불룩한천문
31.영아기(신뢰감-불신감)
32.수두나 습진환아:팔꿈치억제법=주관절억제대
33.견인시간호(상행성요로감염예방,변비예방,욕창예방)
34.식품보존법(식품이 탈수되어 미생물의 발육이 억제된다)
39.who의 정의에 의하면 임신 몇주이후 태아사망을 사산이라 하나?(28주이하)유산-20주이내,조산-28~38주
산후산욕기변화와 간호는?(비수유부는 수유부보다 산욕기간길다. 자궁은 초산부가 더 빨리 회복,오로,산후통-경산부가 초산부보다 심함,좌욕-상처치유와 염증감소목적으로 시행)
41.생균백신-결핵,홍역,풍진,볼거리
42.입덧완화방법(아침식사전 약간의 크래커와 토스트 먹음)
43.췌장에서 분비되며 혈당량 감소시키는 홀몬(인슐린)
45.경구피임약의 금기증이 아닌 것?(불규칙한 월경주기)
47.임신시 생리적변화(심장부담이 크다/혈당이 30~40%증가한다/임신초기와 말기에 빈뇨/홀몬증가로 변비/호흡짧게)
48.디프테리아환아간호(환아격기/충분한수분공급/호흡상태감시)
49.붕산수(2~4%이용/무색무취/눈세척시사용)
50.환자자신의 저항력이 감소되었을 때 주로 발생하여 환자 자신의 구강, 장 등에 정착되어 세균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은?내인성감염
51.삭모시 비누를 사용하는 이유(다량의 단기균이 없어져서)
52.제산제(위산을 중화시켜 십이지장점막 및 위정점막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한다)
53임신의 확정적 증후:태동,엑스레이상 태아골격확인, 태아심음청취(분만전조증상:하강감,이슬)
54.풍진:임신초기 임산부가 걸리면 태아의 선척적기형초래
'시험 > 간호조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요약정리집 (한방간호) (0) | 2022.10.19 |
---|---|
2023년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요약정리집 (치과간호) (0) | 2022.10.18 |
2023년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요약정리집 (공중보건) (0) | 2022.10.12 |
2023년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요약정리집 (응급간호) (0) | 2022.10.11 |
2023년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요점정리 (기본간호) (5) | 202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