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아
1.태아의 발육측정방법
ㄱ.핫세씨 방법:태아의 키와 임신기간을 알아 내는 방법
a.전반기-(월수)를 제곱한다.
b.후반기-(월수)에 5를곱한다.
ㄴ.사까끼 방법:태아의 체중을 계산하는 방법
a.전반기-(월수)를 세제곱한 후 2를 곱한다.
b.후반기-(월수)를 세제곱한 후 3을 곱한다.
2.태아의 건강사정법
ㄱ.건강사정법:초음파술,자기공명기,양수천자,산전태아 심박동감시기
ㄴ.주의사항:임산부에게 초기(임신12주 이내)에는 X-Ray촬영을 금해야 한다.
ㄷ.VDRL검사:임신초기에 반드시 검사해야 한다.
매독감염여부를 알수 있는 혈청검사이다.
*태아의 위치:임신중 가장 흔한 태아의 위치는 두정위이다.
3.태아의 부속물
ㄱ.난막:태아면으로부터 양막,융모막,탈락막
ㄴ.태반:임신 3개월에 완성된다.
모체로부터 태아에게 영양을 공급한다.
--기능:호르몬 분비,영양공급,배설작용,호흡작용
--태반은 성인의 폐,소화기,간장,내분비기관과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
ㄷ.제대:길이 50cm,직경 1cm
제대동맥 2개,제대정맥 1개
태아에게 영양,혈액을 운반하여 준다.
태아로부터 생긴 노폐물을 모체로 옮겨주는 기능을 한다.
ㄹ.양수:무색투명한 액체
태아를 보호한다.
태아의 운동을 자유롭게 한다.
난막과 태아체부사이의 유착을 방지한다.
태아에게 균일한 체온을 유지시켜 준다.
분만시 산도를 윤활하게 한다.
◎ 고위험 임신 -1
1.임신오조증--정상적인 입덧에 비해 정도가 심하여 6~12주 이상 지속되어
임부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2.임신초반기 출혈성 합병증
ㄱ.유산
a.초기유산--임신12주이전의 유산
b.후기유산--임신12~20주까지의 유산
c.유산시 간호--침상안정(절대 안정),출혈조절 ,수혈,약물투여(항생제),
정서적 지지,따뜻한 수분 섭취,무균적 환자 간호,보온
d.종류--자연유산(절박유산,불가피유산,완전유산,계류유산,패혈유산,습관성 유산)
인공유산
ㄴ.자궁이 임신:수정란이 자궁 내막 이외의 다른 부위에 착상된 임신
난관 임신이 가장 많다.
a.파열전 증상:무월경(1~2개월동안),약간의 질출혈,하복부 동통
b.파열후 증상:심한 동통,질출혈,심한 복부 압통,팽만,저혈압,빈맥,창백증.
빈혈,골반 압통,쿨렌징후(복강내 출혈이 장시간 진행되어
배꼽주위가 청색으로 변함)
ㄷ.포상기태
a.정의:자궁의 난막중 융모막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작은 낭포를 형성하는 것
b.증상:자궁출혈(임신 12주 쯤 질출혈)
심한 오심과 구토,빈혈,임신반응 검사에서 강한 양성
임신 월수에 비해 높은 자궁 저부(큰 자궁)
c.합병증:복박염,융모상피암
3.임신후반기 출혈성 합병증
ㄱ.전치태반:태반이 자궁하부에 착상하여 자궁경내구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상태
임신 후반기(임신 7개월 이후)에 무통성 질 출혈
ㄴ.태반조기박리:정상적으로 착상된 태반의 일부,또는 전체가 후반기에 자궁으로
부터 분리되는 것
원인--고혈압,외상,자궁종양, 기형,엽산부족,약물복용(알콜,코카인)
증상--내출혈과 쇼크 증세,심한 동통,
딱딱하고 판자처럼 넓고 팽만한 자궁
ㄷ.자궁경관 무력증:임신 2~3기 초에 통증없이 경관이 열리고 난막이 탈출되거나
파열되고 태아가 만출되는 것
◎ 고위험 임신 -2
1.임신성 고혈압(임신 중독증,임신 자간전증)
ㄱ.임신 20주 이후나 산욕초기에 고혈압이 발생하는 것
ㄴ.원인:자궁의 확장으로 자궁혈관이 압박되어 오는 혈액 순환 장애와 영양실조
(단백질,철분,비타민)
ㄷ.증상
a.3대 증상:고혈압,단백뇨,부종(발,하지,전신의 순서)
b.자각증상:두통,시력 장애,현기증,구토,시원치 않은 배뇨(뇨량 감소),
급격한 체중증가,불면증,가슴앓이
ㄹ.처치.간호:절대안정
식이(저염,수분제한,충분한 칼슘,단백질 섭취)
규칙적인 산전 진찰(혈압 측정,단백뇨 검사,체중 측정)
2.다태 임신
ㄱ.일란성:하나의 난자에 하나의 정자가 들어가 수정된 후 두 개의 배아가 된경우
ㄴ.이란성:두개의 난자에 정자가 하나씩 수정된 경우
3.양수 이상증
ㄱ.정상 양수량:임신말기--800~1,200cc
ㄴ.2,000cc 이상일 때--양수 과다 증
ㄷ.500cc이하인 경우 양소과소증
4.내과적 질환
ㄱ.당뇨병
a.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인슐린에 길항 작용을 한다.
b.위험성:거구증 태아 출산 가능,자간전증 발생,선천성기형 발생,양수과다증 발생,
비뇨생식기 감염의 발생 증가
ㄴ.심장질환:임신으로 인해 혈액량과 심박출량이 증가하여 심장이 부담을 느끼며
산모,태아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ㄷ.빈혈:임신 중 가장 흔한 혈액학적 장애
철분 결핍성 빈혈이 올 수 있다.
철분은 임신 말기에 더 많이 필요시 되는 영양소
ㄹ.감염성 질환
a.풍진:임신후 90일 이내 감염시 신생아 선천성 기형 초래
심장질환,백내장,청각상실,뇌의 기형,
간,비장 비대,황달,지능발달 지연
b.매독:매독균은 임신 중 모체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감염 일으킨다.
산전 혈청 검사통해 발견하고 페니실린으로 임신 20주이내 치료한다.
20주이후 태반을 통과하기 때문에
선천성 매독 증상:허치손 치아,안장코,스느플즈,가성마비
◎ 분만
1.분만에 대한 이해
ㄱ.정의:태아와 부속물이 자궁수축으로 인해 산도를 따라 질밖으로 만출되는 과정
ㄴ.분만전에 관장하는 이유:오염방지
자궁수축 촉진
ㄷ.분만의 요소:태아,산도,만출력(3요소),심리적 반응,산부의 자세
ㄹ.분만기전:진입-하강-굽힘-내회전-폄-외회전-만출
ㅁ.분만의 전구증상:태아 하강감,태동감의 감소,가진통,빈뇨,이슬,체중감소
*가진통과 진진통
진진통 가진통
간격이 규칙적 간격이 불규칙적
간격이 점차 짧아짐
진통 강도가 점차 강해짐 강도가 불규칙적
진통이 주로 허리에 있다. 주로 복부에 있다.
보행을 하면 더 강해진다. 상관이 없다.
이슬 비친다. 없다.
자궁경부 자궁경부가 소실,개대됨 닫혀있다.
2.분만과정
ㄱ.분만1기(개구기)
a.분만 진통이 시작되는 시기,태포 형성,태아심음은 자궁 수축사이에 듣는다.
b.경관이 완전히 열리는 시기(10~11cm)
c.자궁수축의 간격이 점차 단축되고,지속시간이 길어 진다.
강도도 강해진다.
d.치료.간호
--구강청결,태아심음 청취,진통촉진 위해 보행 권장,적절한 운동,휴식제공,
유동식이,상체를 약간올리거나 본인이 편안한 자세
--배변:초기에 관장하여 배변하도록 한다.
진행이 많이 된 사람은 관장해서는 안된다.
--배뇨:소변정체시 비뇨기 감염과 태아 하강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배뇨를
충분히 하도록 한다.
ㄴ.분만 2기(만출기)
a.자궁경관이 완전 개대된후 태아가 만출되는 시기
b.자궁수축과 함께 복부압을 동시에 이용한다.
c.배림(appear):자궁수축시 아두의 일부가 보였다가 진통소실시 아두가 질내로
들어가 보이지 않는 상태
d.발로(crowning):자궁수축에 상관 없이 아두가 계속 보이는 상태
e.태아가 만출되면 동시에 자궁수축이 정지된다.
f.치료.간호--파수양상 관찰,감염예방,복압제공,휴식,회음보호술,
신생아 간호(제대 결찰,아프가 점수 측정,눈간호)
g.회음 절개술의 목적:회음열상방지
ㄷ.분만 3기(태반기)
a.태반 만출후 태반검사--결손부위 확인
b.검사하는 이유:결손조직여부,잔여물 측정 위해
c.치료.간호:산도의 열상확인,출혈유무 관찰,활력증후 사정,자궁수축상태 확인
d.신생아의 머리를 낮추어 기도의 분비물배출을 도와준다.
ㄹ.분만 4기(회복기)
a.분만 후 첫 1~2시간
b.간호:자궁 출혈,자궁 수축상태 확인,오로,회음부 상태 관찰
3.분만 간호시 간호조무사의 임무
ㄱ.태아의 심음을 자주 청취한다.
ㄴ.수축사이에 휴식을 취하게 한다.
ㄷ.자궁경관이 6~8cm정도 개대 되었을때 분만실로 옮긴다.
ㄹ.분만시 부주의로 태아의 두개내출혈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조심한다.
◎ 고위험 분만
1.조기분만
ㄱ.정의:임신20주이후에서 37이전까지의 기간에 분만이 이루어짐을 뜻함
*미숙아:2.5kg이하의 신생아
ㄴ.원인:임신 중독증,급성염증,양수과다증,쌍태,소모성질환,복부수술,임신성 고혈압,
흡연,자궁의 기형이나 종양,자궁경관 무력증,심한노동
2.만삭전 조기파막
제태기간에 상관 없이 분만이 시작되기전에 양막이 파열되는 것
3.난산
분만기에 기계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이상이 생겨서 분만 진행에 어려움이 있는 것
4.산과적 수술
ㄱ.제왕절개술-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분만하는 것
-최근에는 자궁하부를 가로로 절개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가로절개의 장점:실혈량이 적고 보합이 용이
반흔이 적고 파열될 기능성이 적다.
ㄴ.흡입 만출술
ㄷ.겸자(감자)분만술
산욕
1.정의:임신과 분만에 의해 생긴 변화가 임신전의 상태로 복귀되는 기간
6~8주정도 소요된다.
비수유부가 수유부보다 더 길다.
2.산후 신체적 변화
ㄱ.생식기의 변화
a.자궁:분만9~10일이 되면 골반속으로 내려가 복부벽을 통해 촉진할수 없어진다.
b.자궁경부:분만 1주후 외경부의 크기도 좁아지고 둥근모양에서 길쭉하게 변화
c.질:질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케겔씨 운동을 한다.
d.회음부:부종과 압통이 있다.
ㄴ.내분비계 변화
비수유부는 5~6주, 수유부는 5~6개월 후에 월경이 시작한다.
ㄷ.순환기계 변화
증가되었던 혈액량이 분만시의 혈액손실, 분만후의 이뇨작용으로 급격히 감소
ㄹ.호흡기계 변화
산후 6개월이 되어야 임신 전으로 돌아 간다.
ㅁ.비뇨기계 변화
배뇨장애와 산욕기 비뇨기계 합병증의 가능성이 높다.
ㅂ.위장계 변화
산후 2주내에 정상으로 돌아 간다.
ㅅ.피부계 변화
유두,흑선 등 과도한 색소 침착이 호전 된다.
ㅇ.신경근육계 변화
비대한 자궁과 수분축적이 완화되어 불편감이 사라진다.
ㅈ.활력증후 변화
체온은 분만후 24시간내에 약간 상승되었으나 24시간 경과후 구강체온이
38도들 넘거나, 수시간이상 체온상승이 지속되면 산욕기 감염을 의심한다.
ㅊ.심리적 변화
산후 2~3일부터 1~2주까지 산후 우울증을 경험할 수 있다.
3.분만 후의 모자관리
ㄱ.분만을 끝낸 산모가 오한ㅇ르 호소할 때:담요를 덮어주고 더운 물을 준다.
ㄴ.분만 후 6~8시간이 지나도록 자연배뇨 못하면:도뇨를 실시한다.
ㄷ.신생아는 초유를 꼭 먹이도록 하며,세균감염에 신경을 쓴다.
ㄹ.분만 루 제대절단시기:제대동맥의 박동이 정지된 후
배꼽에서 3~5cm남기고 절단
ㅁ.산모는 분만으로 탈진할 수 있으므로 안정을 취해주고 보온시켜 조용히 휴식하도록
ㅂ.자궁수축상태를 확인하고 활력증후 관찰
ㅅ.신생아에게 임균성 안염을 예방하기 위해:1%AgNO3(질산은)을 점적한다.
ㅇ.월경통 완화,산후운동을 위해 슬흉위를 취하도록 한다.
ㅈ.산후 진찰 목적:혈청검사의 헤모글로빈을 검사하여 빈혈여부 사정
4.산욕기 간호
ㄱ.주요원인균:연쇄상 구균
ㄴ.출혈과 감염에 유의하도록 한다.
ㄷ.사정
a.유방과 유두상태확인,염증유무 관찰
복부통한 자궁 촉진시 동통이 없는 것이 정상
자궁이 단단한지를 파악한다.
b.오로:혈액,창상분비액,점액,탈락세포,백혈구 등의 혼합으로 알칼리성의
독특한 냄새가 난다.
6주이상 오로가 지속되면 검사를 받도록 한다.
c.일반 혈액검사를 통해 빈혈여부를 점검한다.
*오로의 종류 및 특성
종류 배출시기 특성
적색오로 분만 후 3일 정도 혈액,탈락막 조직,점액성분,양수,태변
태지,솜털 등
갈색오로 분만 후 4~10일 정도 혈액성분이 감소되고 백혈구가 침투
한 상태로 혈장량의 비율이 증가
백색오로 분만 후 10일~3주 정도 양이 적고 색이 하얗게 되나 혈구가
섞일 수 있슴
ㄹ.불편감 해소
a.산후통-산후 1주일 가량 자주 아랫배가 아픈증상
-자궁이 수축됨에 따라 그 속에 든 불필요한 물질을 내보내고 원위치로
돌아오려는 작용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
-진통제 사용 가능.더운 물주머니는 사용하지 않는다.
-수유부가 비수유부보다 더 심하다
경산부가 초산부보다 더 심하다.
b.회음절개 동통:용변 후 좌욕으로 청결 유지,건열 요법 실시
c.케겔 운동 실시
d.유방동통:따뜻한 물수건으로 충분히 유방을 맛사지 한다.
ㅁ.질식 분만산모의 산요기 간호
좌욕과 열램프로 회음부위를 간호한다.
◎ 고위험 산욕
1.산후 출혈
ㄱ.정의:정상분만시의 출혈(200~300cc)보다 많은 출혈(500cc이상)을 말한다.
ㄴ.간호:의사에게 연락,출혈량 기록,활력증후 체크,자궁저부 맛사지,
자궁저부에 얼음 주머니 적용,지시에 따라 자궁수축제 주사,
골반을 심장보다 높여준다.
ㄷ.원인:거대아,전치태반이 주 원인
2.산후 감염
ㄱ.산도내의 모든 세균성 감염으로 생식기,비뇨기,유방감염이 있다.
ㄴ.분만 후 첫 24시간 후 산욕기 동안 38도이상의 체온상승이 2회이상 나타나거나
2일이상 지속되는 열을 산욕열이라 한다.
ㄷ.원인균:연쇄상 구균
3.산후 관리
ㄱ.산후관리 내용:죄욕,복부 진찰과 회음부 상처관리,유방관리,소변검사,
혈압 체중 측정
ㄴ.안정:분만 후 8시간 동안은 침상안정
척추마취시 분만 후 24시간은 절대안정
ㄷ.식이:분만 후 24시간 동안은 소화가 잘 되는 음식으로 한다.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여 유즙분비를 촉진시킨다.
ㄹ.배변:식이로 변비 조절
3~4일 이상 변비가 지속되면 관장을 한다.
모유수유 산모에게는 완화제를 피한다.
ㅁ.좌욕
a.세수대야에 1/2쯤 물을 담고 대야 채 끌인다.
b.수유 후나 화장실에 다녀온 후 실시 하루 3~5회 반복한다.
c.소독된 수건으로 물기를 닦고 패드를 한다.
d.목적:치질로 인한 상처치유,염증감소,골반강내의 충혈완화
ㅂ.산후 운동
a.오로 배출과 자궁수축을 위해 필요하다.(슬흉위를 취한다)
b.산후 1주일 정도는 산후통이 있슴을 알린다.
c.하루 몇 차례씩 운동하는 것이 좋다.
수유는 자궁회복을 촉진시키는 좋은 방법이다.
ㅅ.월경의 시작
a.비수유부는 산후 5~6주 후에 월경이 있을 수 있다.
b.수유부는 수유기간동안 월경이 없을 수 있다.
c.개인에 따라 다르나 보통 산후 5~6개월이 되면 다시 시작한다.
◎ 임신에 의한 모체의 변화
A. 자궁
임신 전 자궁은 약 70g의 무게와 10ml정도의 용량을 보이나, 임신말기에 오게되면, 무게는 약 1100g, 용량은 약 5-20L정도로 증가하게된다. 즉 임신 전에 비해 약 500 - 1000배의 용량증가가 있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궁의 확장은 세포의 비대에 의한다.
자궁은 임신 12주가 되면 골반을 벗어나서 복부로 올라오게 된다. 따라서 이때부터는 배를 통해 자궁을 촉지할 수 있게 된다. 자궁수축은 임신 13주까지는 불규칙적이며, 통증이 없으며, 그후 28주까지는 불규칙적이면서 다소 강도가 강한 수축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임신 말 수개월동안에는 이러한 수축이 더욱 자주 오게 되며 이러한 수축에 의해 불편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임신말기에 불편함을 느낄 정도의 수축을 가진통이라 한다.
B. 질 및 회음부
질 분비물이 증가되며, 혈류량이 증가하여 질이 보라색을 띠기도 한다. 또한 질의 길이가 다소 길어진다.
C. 복벽 및 피부:
1. 임신선 : 임신후반기에 오면 복부, 유방 및 대퇴부위에 붉은 색이 다소 함몰된 선이 나타나는데 이를 임신 선이라 한다. 경산부의 경우는 전의 임신에서 보였던 임신선의 반흔이 남아 은색의 선이 되기도 한다.
2. 색소침착 : 복부 피부의 정 중앙부위가 갈색 내기 검게 보이는 흑선이 형성되며, 얼굴 및 목 부분에 갈색의 반점이 생기기도 하나 이 들은 모두 분만후 사라지게 된다. 백인 여성의 2/3,흑인여성의 1/3에서 혈관종이 얼굴, 목, 흉부 및 팔에 생길 수 있으나 별 중요성이 없으며, 분만 후에 대개는 사라진다. 손바닥이 빨갛게 변하는 수장 홍반도 백인여성의 2/3에서 보이나 별 중요성은 없으며, 마찬가지로 분만 후 없어진다.
D. 유방
임신 첫 수주동안에는 가끔 유방의 압통을 경험할 수 있다. 임신 2개월이 되면 유방의 크기가 커지게 되며, 유두가 커지고 검게 색소가 침착되며, 유두가 선다.
E. 체중증가
임신말기까지 약 12.5kg의 체중증가가 있게된다. 이를 세분해본다면, 태아가 약 3.4kg, 태반이 650g, 양수가 800g,자궁무게 증가가 970g, 유방의 증가가 405g, 모체혈액증가에 의한 것이 1450g, 세포외액 증가가 1480g, 마지막으로 모체의 지방의 증가가 약 3345g에 달한다.
F. 수분대사
임신동안에는 수분 정체가 약 6.5L에 달하며, 함요부종이 대개 저녁에 생기게된다. 이는 자궁에 의해 하대정맥이 눌려서 정맥압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분만 후 10여일동안 이러한 수분이 소변 등으로 빠져나감으로써 약 2kg이 감소한다.
G. 혈액량증가
임신 말기에 이르게 되면 임신 전에 비해 약 40~45%의 혈액량 증가가 있게된다. 이러한 증가는 임신 1기(14주까지)부터 시작되며, 임신 2기(14-28주)에 최대가 된다. 따라서 철 요구 량도 급속도로 증가하게 되어 임신 2기부터는 철분제를 보충해주어야 한다. 만약 철분제가 공급되지 않으면 철 결핍에 빠지게 된다. 이렇게 증가된 혈액량은 분만 시에 있게되는 출혈에 산모가 견딜 수 있게 해주는데, 정상질식 분만인 경우는 약 500~600ml , 제왕절개에서는 약 1000ml의 손실이 있게된다.
H. 요실금
임신 4개월이 지나서 자궁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방광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따라서 대부분의 임산부가 임신 중에 요실금을 경험하게 된다.
I. 소화기계의 변화
임신말기가 되면 충수돌기(맹장)는 우측옆구리까지 올가가게 된다. 따라서 맹장염 진단에 어려움이 있게된다 . 또한 임산부의 약 70%에서 가슴 쓰림을 경험하는데 이는 식도하부 괄약근의 압력감소, 낮은 식도 내압 그리고 증가된 위 내압력으로 인해 위 내용물이 식도하부로 역류되기 때문에 생긴다.
J. 치질
임신 동안에 흔히 관찰되는데, 이는 변비 및 자궁에 의해 하부정맥이 압박됨으로써 생긴다.
'시험 > 간호조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간호 개념 - 영유아/어린이 -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핵심정리 (11) | 2022.11.28 |
---|---|
아동간호 개념 - 신생아 - 간호조무사국가시험 핵심정리 (8) | 2022.11.27 |
모성간호 개념 (산모) - 간호조무사 시험 핵심 정리 (13) | 2022.11.25 |
응급간호 개념 - 체계/역사/상황별 - 간호조무사 시험 핵심정리 (8) | 2022.11.24 |
해부생리 개념 - 혈관/피부/이비인후 - 간호조무사 시험 핵심정리 (19) | 2022.11.23 |